1분기 해외건설 176억불 수주…700억달러 목표 '청신호'
1분기 해외건설 176억불 수주…700억달러 목표 '청신호'
  • 권남기 기자
  • 승인 2014.03.31 14: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통적 텃밭'인 중동에서 전체 수주액의 79% 차지
정부, 해외시장 '메가프로젝트' 타겟형 수주 적극 지원

[건설이코노미뉴스-권남기 기자] 국내 간판급 건설사들이 올 1분기에 해외에서 전년동기대비 31% 증가한 176억달러를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액이 176억불을 기록해 올해 목표 700억달러 달성을 향해 순항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134억달러) 대비 31% 증가한 수준이며, 역대 1분기 수주실적 기준으로도 두번째 최고치 기록이다.

1분기 실적증가는 우리기업간 경쟁력을 갖춘 부문의 합작(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시너지효과와 그간 수주지원단 파견 등으로 인한 신시장 개척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지역별로 보면 중동이 139억달러로 전체 수주액의 79%를 차지했다. 반면 아시아 지역은 23억달러로 전체의 13%를 점유하는데 그쳐 전통적 텃밭인 중동을 중심으로 수주가 호조를 보였다.

중동 지역에서는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60억4000만달러), 알제리 복합화력발전소 5개 사업지(33억5000만달러) 등 대규모 플랜트 공사 수주에 힘입어 지난해 동기(54억달러) 대비해 158% 증가했다.

이는 유망시장인 이라크, 알제리, 사우디 아라비아 등에 대한 우리 기업들간 합작을 통한 경쟁력 강화와 영업력 증대 등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아시아 지역은 베트남 빈탄4 석탄화력발전소(15달러ㆍ두산중공업)를 수주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대규모 플랜트, 토목 공사 수주가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동기(74억달러) 대비 31% 수준에 머물렀다.

중남미는 우리기업이 경쟁력을 갖춘 플랜트ㆍ토목 공종을 기반으로 신시장개척 노력을 강화한 결과, 칠레 BHP 복합화력 프로젝트(4억4000만달러ㆍ삼성엔지니어링)와 Chacao 교량건설사업(3억3000달러ㆍ현대건설) 등을 수주했다. 이에 중남미는 전년도 동기(6000만달러) 대비 1683%라는 놀라운 실적을 기록했다.

공종별로 보면 대형 정유공장ㆍ발전소 공사 등 플랜트 수주가 이어지며 플랜트 건설이 162억달러로 전체의 92%를 차지했다. 플랜트 위주의 수주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인 셈이다.

이는 중동 산유국의 대형 플랜트 발주가 지속됨에 따라 세계적 수준의 EPC(설계ㆍ구매ㆍ시공) 경쟁력을 보유한 우리기업의 플랜트 수주 강세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국토부는 올해 수주 목표 700억불 달성을 위해 기존 시장에서는 그동안 입증받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메가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도록 타겟형 수주지원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신규 진출국가에 대해서는 국가간 협력기반을 토대로 진출 시장ㆍ공종이 다변화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수주지원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먼저, 전통적 수주강세지역인 중동지역에는 지난 1월 쿠웨이트, 알제리에 수주지원단(1차관)을 파견한데 이어. 특히 쿠웨이트 등 대규모 플랜트 공사(중질유개발사업ㆍ50억달러 규모)가 예정돼 있는 국가와는 건설협력위원회(하반기) 등을 통해 수주지원에 나선다.

아시아의 경우 지난 3월초 미얀마, 말레이시아의 메가프로젝트(말레이시아-싱가포르 고속철도 120억불 등) 수주를 위한 수주지원단(장관)을 파견한 바 있다,

정부는 하반기에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중국 등에 대해서도 주택·건축·도시 분야 협력을 통해 1분기의 감소세를 만회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정부는 중남미(콜롬비아ㆍ페루), 아프리카(코트디부아르ㆍ적도기니) 등에 수주지원단을 파견(하반기)해 개발단계에 따른 상수도공급, 홍수방어, 교통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를 발굴ㆍ수주 지원한다. 이로써 1분기 높은 수주증가율(1683%) 기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국토부 관계자는“우리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수익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면서 “지난 2월 개소한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를 활용해 주요 지역별 진출전략과 해외진출 리스크 정보를 제공하고, 마스터플랜 수립지원도 강화해 나가는 등 해외건설 수익성 제고를 위한 정부지원을 계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