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코로나 여파 부동산시장 침체 ‘시작 단계’
건산연, 코로나 여파 부동산시장 침체 ‘시작 단계’
  • 이태영 기자
  • 승인 2020.04.27 17: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택 거래량 감소로 민간소비지출 연간 0.23∼1.50% 감소 추정

[건설이코노미뉴스 이태영 기자] 사스 발병과 외환·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주택 거래량이 감소할 경우, 민간소비지출이 연간 0.23∼1.50% 감소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27일 ‘코로나19 사태의 부동산경기 파급효과 및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코로나19의 직접적 영향인 ‘주택 거래량 감소’를 주택시장 침체의 대리변수로 판단하여 이에 따른 부동산산업의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거래량이 3.0% 감소하면, 민간소비지출의 감소액은 5150억원으로 부동산산업은 생산유발효과 7400여 억원, 부가가치 1.9조원, 고용 1.6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거래량이 19.8% 감소하면, 연간 민간소비지출의 실질 금액은 3.2조원 하락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부동산산업은 생산유발효과 4.6조원, 부가가치 12.2조원, 고용 10.0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비주거용 부동산시장’이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임차자 어려움 증가, 거래 감소 및 자산가치 하락, 금융부실 확대, 경매 증가 형태로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비주거용 부동산은 임차자 대출, 임대인 대출이 모두 존재하여 금융 규모가 큰데, 한국은행에 따르면, 자영업자 대출 중 소득 대비 이자상환률 100%가 넘는 차주가 6.5%에 달하고 비주거용 담보대출은 거치식, 단기 만기구조 비중이 높아 만기상환시 어려움에 빠지면 리스크가 빠르게 확대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해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증시보다 하락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영국, 일본 등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은 대부분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고 리츠 지수가 증시보다 큰 폭 하락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일본 리츠 지수는 올림픽 연기로 5개월 만에 반 토박 수준까지 하락한 후 소폭 회복 중이다.

허윤경 연구위원은 “해외 사례를 종합하면, 우리 부동산시장 침체는 시작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며 “최근 기관투자자들이 해외부동산을 다수 취득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로 경제위기 전이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부동산시장을 방어하기 위한 단계별 정책 수단 도입이 검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건산연은 우선적으로 금융과 세제 정책을 통해 수요자를 위한 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이며 나아가 기존 사업의 속도를 높이고 신규 사업을 활성화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기적으로는 사업자금이나 생활자금 대출 목적에 한해 한시적 LTV 확대, 채무의 단기적 유예 및 조정 등으로 단기적인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사업자들을 지원해야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3기 신도시 등 기존에 계획된 개발계획 조기 추진, 정비사업과 분양사업에서 기존의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해 향후 경기 회복기의 주택 부족 문제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허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가져올 메가트렌드 전환은 피할 수 없다.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을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고 동시에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며 “현재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코로나 뉴딜’에서 도시 인근 물류인프라 확충, 저이용 부동산 용도변경, 해외기업 유턴 등에 정책적으로 지원해 산업구조 개편과 도시경쟁력 향상을 동시에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