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먹거리 '제2 중동붐']해외건설 전문인력 양성 '관건'
해외건설인력 오는 2015년까지 1만4000명 필요
[미래 먹거리 '제2 중동붐']해외건설 전문인력 양성 '관건'
해외건설인력 오는 2015년까지 1만4000명 필요
  • 이태영 기자
  • 승인 2012.02.24 15: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인력 4800명 양성…병역특례 등 인센티브 부여 방안 검토

[건설이코노미뉴스-이태영 기자] 국토해양부가 '제 2 중동붐'에 따른 해외건설 인력난 해소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중동 민주화 영향 등으로 주택, 의료시설 등 각종 복지 인프라 건설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나, 국내 해외건설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병역특례 확대 등 인센티브도 부여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어 해외건설 인력난을 겪고 있는 국내 기업의 애로사항이 어느정도 해소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24일 해외건설협회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제 2 중동붐'에 따른 해외건설 인력난 해소방안을 마련해 보고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우선, 청년층의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해 대졸자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 실무교육 양성규모를 지난해 2500명에서 올해 35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는 지방대생 400명 교육과정과 향후 원전 수주 확대에 대비한 원전 시공인력 120명 양성도 포함했다.

대학 마지막 1학기를 해외건설 실무교육으로 대체해 학점으로 인정하는 '실무학기제'를 도입해 졸업과 동시에 해외건설업체에 취업할 수 있도록 유도키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국토부와 대학간 실무교육 학점인정 협약을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중소기업에 채용되는 인력(200명)에 대해서 1년간 OJT(해외훈련)를 실시하고 이를 위해 1인당 1140만원씩 지원키로 했다.

기업이 특히 애로를 겪고 있는 전문경력자 인력난 해소를 위해 재직자에 대한 전문교육도 확대키로 했다.


'맞춤형 6개월 전문가과정'을 현재 2개 대학원에서 5개로 확대하고, 5개 교육기관별로 전문과정(발전, 석유화학, 계약ㆍ리스크관리 등)을 특화키로 했다.

더불어 정부는 핵심 엔지니어 양성을 위해 올해부터 포스텍 엔지니어링 대학원을 개원했으며 플랜트 엔지니어링 대학원 1개를 추가 육성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이 외에도 젊은층의 해외건설현장 근무를 유도하기 위해 병역특례 확대 등 다양한 인센티브 부여방안도 관계부처와 협의해 마련키로 했다.


◆카타르 월드겁 특수...올해 700억불 수주 전망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속되는 고유가를 바탕으로 중동지역 국가들의 석유화학, 발전 등 인프라 건설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우리 업체들은 국내 시장 위축에 대비해 해외시장 비중을 확대해 왔고,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지난 2007년 이후 중동 위주로 수주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오일머니를 재투자하기 위한 중동지역의 플랜트 등 발주규모가 확대돼 '제2의 중동붐'이 일 전망이다.
또한, 중동 민주화 영향으로 주택, 의료시설 등 각종 복지 인프라 건설수요가 확대되고 카타르 월드컵 특수도 기대되고 있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2월 중동순방을 통해 지도층과 협력 강화, 우리기업에 대한 긍정적 평가 확대로 수주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의 올해 중동에서 400억불 내외, 전체 시장에서 700억불 이상의 수주가 전망된다.


◆2015년까지 1만4000명 인력 필요
2011년 현재 우리업체의 해외현장에는 총 17만명이 근무중이며, 이중 국내 인력은 1만6000명에 불과,
지역별로 중동에 62%, 공종별로는 플랜트에 60% 수준이다.
앞으로 해외건설현장에 올해에만 2200명의 국내 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며, 2015년까지 총 1만4000명(연 3500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분야별로는 플랜트가 2015년까지 8400명(연 2100명), 이중 원전시공 분야가 1500명(연 380명, 기술자 연 70명 포함) 필요하다.
공대 졸업생은 매년 3만명 이상이 배출되나, 이중에서 지난해의 경우 정부의 인력양성 과정을 통해 500여명, 기업 자체훈련을 통해 1000여명 등 총 1500여명만 해외현장에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올해에는 약 700여명의 인력이 추가 채용돼야 하는 실정이며 하며, 2013년 3300명, 2014년 5400명, 2015년에는 8000명 등으로 채용규모가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


◆해외현장 경험 부족도 '걸림돌'
우수 공대졸업생은 자동차, 전자업종 근무를 선호하는 반면, 열악한 근무여건, 인센티브 부족 등으로 해외건설업체 근무를 기피하고 있다.
해외건설업체에 채용된 신규 졸업생은 대학교육과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과의 차이로 해외 현장에 즉시 투입이 곤란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최근 인력난은 신규인력 공급 부족보다 해외현장 경험이 풍부한 전문인력의 공급이 정체된데 주로 기인한다.
특히 플랜트 전문인력은 지난 1997년 외환위기로 대량 해고된 이후, 2006년 중동 플랜트 수주가 급증하기 전까지 추가 인력양성이 크게 미흡하다.

◆인력양성 사업 개선 '시급'
정부의 인력양성 사업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취업준비생의 선호는 높으나, 해외현장 근무는 낮은 수준이며 학급당 인원과다, 심화학습 부족 등 교육의 질에 대한 관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신규인력 양성확대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단기 직무과정 지속 확대 등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우선, 해외플랜트 교육과정 인원을 지난해 2500명에서 올해 3500명으로 확대하고 교육기간도 기존 8주에서 12주로 연장키로 했다. 이 중에는 지방대생 교육과정(400명)도 포함된다.
학급당 인원수도 현행 80명에서 40명으로 축소하고 교육내용 중 전문분야 비중도 확대키로 했다.
특히 정부는 원전 시공인력 양성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부터 건설기술교육원에 원전플랜트 건설과정을 신설(120명)하고, 내년부터 확대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정부는 ▲해외현장 OJT 채용연계 강화 ▲실무학기제를 도입 ▲맞춤형 6개월 전문가과정 확대 ▲엔지니어링 대학원 개설 확대 등을 통해 해외건설 인력 양성에 만전을 기한 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