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하도급 규정, 건산법으로 일원화해야"
"건설 하도급 규정, 건산법으로 일원화해야"
  • 이태영 기자
  • 승인 2012.03.16 15: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산연, 하도급법 규제는 법 제정 취지에 어긋나

[건설이코노미뉴스-이태영기자] '하도급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하도급법)과 '건설산업기본법'(이하 건산법)에서 중복 규정하고 있는 건설하도급 규정을 '건산법'으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김흥수)은 최근 발간한 '건설 하도급 법령 체계의 합리적 개편 방안' 연구보고서에서 "하도급법과 건산법에서 중복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건설 하도급 규정을 '건산법'으로 일원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하도급법'상 하도급 거래에서 우월적 지위 남용으로 인한 불공정행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먼저 원도급자가 하도급자에 비해 우월적 지위가 존재해야 하나, 건설산업은 독과점 산업이 아니어서 특정한 하도급자도 다수의 원도급자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또 원도급자가 하도급자에게 현저하게 불리한 요청을 해도 대부분 하도급자가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우월적 지위를 갖는다고 볼 수 없어 '하도급법'의 제정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건산연 이의섭 연구위원은 “하도급법은 '독점 규제 및 공정 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의 ‘자기의 거래상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하여 거래하는 행위’ (우월적 지위 남용 행위) 중 하도급 거래에 관련된 사항을 별도로 규제하기 위해 1984년 제정한 데 이어 1985년부터 운영하고 있다"며 "하도급법의 제정 취지는 특정한 하도급 거래의 위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됐고, 이것은 오히려 하도급자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해 특정한 하도급 거래를 불공정 행위로 인정, 신속하게 하도급자를 구제하는 데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 하도급법 제정 시 벤치마킹한 일본의 '하청대금지불지연등방지법'( 이하 하청법)도 건설하도급은 적용 대상이 아니며 건설공사 하도급에 대해서는 일본 '건설업법'의 하도급에 관한 규정만 적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또 “현행 건산법은 현행 하도급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 중 현금 결제 비율 유지 의무, 어음 만기율 유지 의무 및 원도급자의 금지 사항만을 제외한 거의 모든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며 “건산법에서 하도급 계약의 적정성 심사를 할 수 있어 하도급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원도급자의 금지 사항으로 인한 효과도 건산법의 하도급 계약의 적정성 심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건설업은 일정한 장소에서 생산이 이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며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의 하도급과 동일한 규정으로 규제하는 것보다는 건설업의 특성을 고려해 차별적으로 건산법에서 규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